보표의 책 추천

태도란? 어떻게? 라는 살아가는 방식과 가치관의 문제 -태도에 관하여 26문장 발췌문 (임경선)

By Bopyo Park,

Published on Apr 21, 2025   —   22 min read

여러분은 최근 삶에서 가장 어려웠던 일 혹시 경험하신 것은 없으신가요?

삶을 살아가다 보면 참 다양한 일을 겪습니다. 신이 아니고서야 우리가 그 상황 자체를 오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권한과 능력은 없지만 그 상황을 어떠한 태도로 마주할 수 있을지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에서 제품을 판매하다 보면 예상하지 못한 참 다양한 일을 경험합니다. 이런 일들이 어디 저만 겪는 일일까요? 당연히 아마존에 진출한 여러 브랜드 오너들은 비슷한 상황들을 겪었겠죠? 그래서 이런 비슷한 상황에 놓인 수많은 브랜드의 대표들을 지켜봤는데 참 재미있는 점은 같은 상황이어도 정말 다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별일 아닌 일에 크게 반응하는 사람들,
큰일에 별것 아니게 반응하는 사람들.
때로는 "너무 무심한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의 반응들,
때로는 "너무 상황을 확대 해석하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는 반응들.

이 모든 것은 태도였습니다. 아마존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상황뿐만이 아닌 삶은 태도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삶의 태도는 매우 중요하며 한 사람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이런 태도에 관한 제목이 마음에 들어 읽은 책

'태도에 관하여'는 이러한 삶의 태도들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임경선 저자의 담백한 글로 써내려간 내용에서 제가 꼭 전달하고 싶은 26문장을 손수 발췌하였습니다. 여러분들에게도 담백하게 전달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럼 우리 삶의 태도에 대해서 들여다볼까요?
시작합니다.


출처: 교보문고
출처: 교보문고

  1. '태도attitude'란 '어떻게how'라는 살아가는 방식과 가치관의 문제로, 그 사람을 가장 그 사람답게 만드는 고유 자산이다. 나는 그 모든 사유와 경험을 통해 내가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다섯 가지 태도들 자발성, 관대함, 성실함, 정직함, 공정함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그 태도들의 틀 안에서 개별적인 문제들을 이해하고 접근하고 싶었다.
  2. 현실에서는 오히려 '생각'하고 '행동'하기보다 '행동'을 하면서 '생각'이 따라서 정리되었다.
  3. 의미? 그런 건 원래 없다. 세상의 모든 의미는 내가 직접 만들어가는 것이다.'지금 하고 있는 일은 내가 아니라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야. 그렇다면 직장에서 나란 존재는 대체 뭘까 생각하게 돼.'
  4. 예술 하는 사람이라고 하면 밤늦게까지 술이나 담배를 하면서 글을 쓰고 글이 도중에 풀리지 않으면 영감을 얻겠다는 핑계로 훌쩍 여행을 떠날 것 같지만 대부분의 창작자들은 매일 정해진 시간에 책상으로 출근했다.비가 오나 날이 맑으나, 숙취에 시달리든 팔이 부러졌든. 그 사람들은 그저 매일 아침 8시에 자기들의 작은 책상에 앉아 할당량을 채우지요. 머리가 얼마나 텅 비었건 재치가 얼마나 달리건, 그들에게 영감 따윈 허튼소리.작가 레이먼드 챈들러는 에세이 <나는 어떻게 글을 쓰게 되었나>에서 시크하게 말한다. 영감이 떠오르든 말든 일단 정해진 시간에 책상에 앉는 사람만이 글을 쓸 수 있는 것이다.
  5. 누구나 처음엔 낯설어도 어떤 마음들은 연결되고 전달된다.
  6. 나이가 들수록 가만히 있어도 삶의 무게는 무거워지니 가급적 많은 것을 단순화시키고 깃털처럼 가볍게 해야 할 것 같다.
  7. 인간관계에 있어서 맨 먼저 할 일은 '나는 누구로부터 사랑받고 싶은가, 나는 누구를 사랑할 것인가'를 가려내는 일인 것 같다. 자칫 편협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것으로 '내가 있어야 할 장소'나 '내가 가지고 가야 할 인간관계'를 우선적으로 챙긴다. 밀물과 썰물을 거쳐 여전히 내 곁을 지키고 있는 그 사람들이야말로 지금의 '내 사람들'인 것이다.
  8. 고통은 어떤 형태로든 창작의 원천이 되어준다. 어쩌면 병실에서 나는 그런 시간을 갈망했을지도 모른다.한 여성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수천 킬로미터를 걷는 혹독한 여정을 그린 영화 <와일드>를 보면 에밀리 디킨슨의 다음 구절이 등장한다.몸이 그대를 거부하면, 몸을 초월하라.신경이 예민하면 거부하세요 / 신경을 넘어서세요.어떤 불행이 닥쳤을 때 저마다 그 고통을 초월하는 방식이 있다. 어떤 사람에겐 종교가, 어떤 사람에겐 가족의 사랑이, 어떤 사람에겐 쾌락의 탐닉이. 그렇다면 글을 쓰는 사람은? 바로 글을 쓰는 것으로 그 고통을 초월하려 한다.
  9. 세상의 어떤 사람들은 그토록 늘 한결같다.
  10. 이따금 그다지 하고 싶지 않은 일에 대해서 원하는 금액을 조금 높게 책정해두기도 한다. 그래야 고역스러운 과정이 있더라도 참고 완수할 수 있고, 일을 받은 것을 자책하거나 남 탓하지 않을 수가 있다. 하지만 돈을 모으는 일이 인생의 최우선 순위가 아닐 때는 돈이 휘두를 수 있는 힘이 의외로 크지가 않다. 뿐만 아니라 글을 쓰는 직업이라면 자기 자신을 좋은 상태로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는데 가끔 돈을 선택의 기준으로 일을 받았다가 영혼이 좀먹는 호된 경험을 치르기도 한다.

This post is for subscribers only

이 아티클은 무료 및 유료 멤버들을 위한 전용 콘텐츠입니다. 아티클이 열람이 안되거나 중간에 끊어진다면 무료 구독으로 로그인하시고 확인해보세요. 무료 멤버쉽 콘텐츠는 열람이 됩니다. 만약 그래도 끊어지신다면 유료 멤버쉽 전용입니다. $5.19 커피 한잔 정도의 가격으로 유료 멤버쉽으로 업그레이드 하세요. 전체 내용이 보여지며 그동안 공개되지 않는 모든 아티클을 볼 수 있습니다

Subscribe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Share on Facebook Share on Linkedin Share on Twitter Send by email

보표의 성장 레터

여러분의 삶에 건강한 자극을 보내드립니다. 지금 바로 '한계 없는 성장' 뉴스레터를 구독하시고 남들보다 앞서가세요!

Subscribe